서비스와 플랫폼, 그리고 집무실

IT산업에서‘서비스’와 ‘플랫폼’이 어떻게 다른가에 대해서 많은 관점이 있겠지만, 나는 이렇게 구분한다.

  • ‘서비스’: 자기 혼자 돈을 많이 번다.
  • ‘플랫폼’: 자기를 통해 다른 사람이나 회사 등이 돈을 많이 벌어야 자기도 돈을 번다.

사업적 난이도 측면에서 당연히 서비스보다 플랫폼이 만들기 어렵지만, 만들면 더 오래가고 훨씬 큰 경제적 가치를 창출한다.

로켓펀치는 플랫폼이다. 로켓펀치를 사용하는 회사나 개인들이 산업계에서 유명해져야 로켓펀치도 유명해지기 때문이다. 이런 플랫폼 적 특성 덕에 20억 원도 채 안 되는 투자금으로 연 360만 명, 경제활동인구 7명 중에 1명이 쓰는 서비스가 될 수 있었다.

그렇다면 집무실은 어떤가? 아직은 서비스다. 아직은 집무실이 잘 된다고 해서, 다른 사람이나 회사가 돈을 더 많이 벌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플랫폼으로 성장할 가능성은 다분하다. ‘사무실’은 침대를 제외하고 경제활동인구가 제일 오랜 시간 머무는 장소이기 때문이다.

온라인 서비스들이 사용자들의 하루 시간 중 1분을 더 점유하기 위해서 온갖 노력을 기울이는데, ‘사무공간’은 사용자들이 기본적으로 하루 8시간 이상 머무르는 곳이다. 사용자들의 매일 경험하는 8시간을 다른 파트너들과 함께 더 가치 있게 만들어 파트너들이 돈을 벌 수 있게 만들면 된다.

그런 맥락에서 로켓펀치-엔스파이어 합병 후 집무실 사업을 총괄하고 있는, 브랜드 전략에 깊은 이해를 가진 김성민 대표님이 나에게 ‘다른 브랜드와의 협업을 통해 집무실이 더 오래 살아남는 브랜드로 만들 수 있을 것’이라 한 말은 참으로 흥미롭다. IT서비스에서 이야기 하는 ‘플랫폼’으로 성장하는 방법이, 결국 ‘오래가는 브랜드’를 만드는 방법과 똑같다는 의미니까.

사실 집무실은 처음부터 일하는 사람들의 연결하는 온라인 플랫폼 로켓펀치와 긴밀하게 연결되는 오프라인 플랫폼으로 기획되었다. 재미있는 사실은, 아직 1호점 밖에 없지만, 우리 의도를 벌써 알아채신 많은 회사에서 협업 제안을 주고 계신다는 것이다. 플랫폼을 꿈꾸며 구조를 잡았던 사업이, 정말 플랫폼으로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는 지금 상황이 사업기획자로서 퍽 만족스럽다.

자랑삼아 덧붙이는 몇몇 업계 리더분들의 집무실에 대한 코멘트.

“어떤 분들이기에 여기에 이런 좋은 컨셉의 (규모의 경제를 만들 수 있는) ‘비즈니스’를 시작하신건가 싶었다. 비즈니스 배경의 사람들이 하기엔 감도가 이해가 안되고, 디자인 배경의 사람들이 하기엔 비즈니스 방향성이 이해가 안되었다.”

월간디자인 전은경 편집장님

“한자가 어우러진 깔끔한 로고와 모던한 색감, ‘집 근처 공유오피스’ ‘집 근처 사무실’이라는 흥미로운 컨셉에 끌려 꼭 가보고 싶었는데 지인 찬스로 구석구석 들여다 볼 수 있었음.”

박지호 대표님 (어반스페이스오디세이 co-founder / 현대카드 DIVE advisor / 대림문화재단 이사)
예술성과 상업성을 모두 잡고자 노력한 집무실 공간 구성

덧붙임 – 이 글을 갈무리 하는 동안 빌게이츠가 생각하는 플랫폼의 기준에 대해서 알게되었다. 이른바 ‘빌게이츠 라인’

“플랫폼은 그것을 사용하는 모든 사람들의 경제적 가치가 그것을 창조하는 회사의 가치를 초과할 때입니다. 그래야 플랫폼이라고 부를 수 있어요.”

애플과 페이스북의 고객 데이타 확보 경쟁, 반목속에 실질적 동맹 가능성

One thought on “서비스와 플랫폼, 그리고 집무실

Leave a comment